본문 바로가기

항공모함19

밀리터리 잡담 (7/1) WW2 후반부에 나온 F6F Hellcat에 비해 모든 면이 떨어졌던 F4F Wildcat은 의외로 대전 말까지 생산이 계속됨. 왜 저성능 싸구려 함재기를 계속 생산했을까? 바로 상선을 개조해 만든 소형 저속력 항모인 escort carrier 때문. 호위항모는 18노트로 워낙 느려서 충분한 맞바람을 일으킬 수 없었고 또 너무 작아서 착함 속도가 매우 느려야 했는데, 헬캣이나 콜세어 같은 신형 함재기들은 크고 무겁고 빨라서 호위항모에서의 이착함이 어려웠음. 그래서 와일드캣에게도 역할이 주어진 것. 세상에 쓸모 없는 사람이나 물건은 없음. 제 역할을 찾지 못했을 뿐임. 이들은 북해의 차갑고 거친 바다에서 독일공군 장거리 폭격기를 몰아내고 드넓은 태평양에서는 일본해군기로부터 함대를 지켰음. 레미제라블, 빅토.. 2021. 7. 1.
항공모함 관련 잡담 (6.24) 표면적으로 보면 일본해군이 미드웨이 육상기지를 한번 더 공격할까 아직 탐지하지도 못한 미항모들을 공격할까 망설이다가 습격을 받는 바람에 망한 것이지만, 좀더 사정을 살펴보면 궁극적으로는 당시 항모들은 (미국이나 일본이나) 함재기들을 착함시킬 때는 아무 것도 이함시킬 수가 없다는 것, 반대로 이함시킬 때는 아무 것도 착함시킬 수가 없다는 것에 원인이 있음. 당시 일본해군은 미드웨이 1차 공격을 갔다가 돌아오는 함재기들을 착함시키느라 예비로 두었던 2차 공격대를 이함시킬 수가 없었음. (그럴 바에야 2차 공격대를 왜 우물쭈물 남겨뒀는가라는 비난은 피할 수 없음) 암튼 당시 이착함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는 이유는 저 직선 비행갑판 때문. 이함하려는 항공기들은 비행갑판 앞쪽 절반, 캐터펄트를 쓰는 경우는 1/3.. 2021. 6. 24.
밀리터리 잡담 Boston 항구에는 유명한 범선 USS Constitution도 있지만 WW2의 Fletcher급 구축함 USS Cassin Young도 있습니다. 여기 가봤는데 인상적이었던 부분이 주방이었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저 사진보다 굉장히 좁았고 큰 솥단지 2~3개 외엔 별 주방기구도 별로 없었던 것 같았습니다. 거기에 당시 취사병의 수기가 적힌 안내판을 읽어봤는데 내용이 대충 이랬습니다. "300여명이 먹을 밥을 짓느라 새벽부터 한밤중까지 쉴 틈이 없이 바빴다. 정말 한시도 쉬지 못하고 계속 cooking을 했다. Cooking을 하지 않을 때는 baking을 해야 했다. 하루에도 xxx 파운드의 빵과 xxx개의 쿠키를 구웠다." 최근 군대 식단이 부실하다는 뉴스와 관련되어 꽤 푸짐한 음식이 올라온 3군 중.. 2021. 6. 17.
항공모함 관련 이모저모 (2) 1941년 3월 영국 수송로를 위협하러 대서양으로 출격한 독일 전함 Scharnhorst와 Gneisenau를 찾아나선 HMS Ark Royal. 전날 Fulmar 함재기가 그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한 뒤라서 이번에는 제대로 찾아낼 거라고 벼르고 있었느나 사출기 고장으로 인해 이함 준비가 안된 Fairey Swordfish 함재기가 그냥 전방으로 내던져짐. 전속력으로 달리던 아크로열은 그대로 바다 위에 떨어진 소드피쉬를 들이받고 올라탐. 그런데 하필 그 소드피쉬가 장착하고 있던 것은 대잠용 폭뢰. 소드피쉬가 꼬로록 하면서 아크로열 밑에서 폭뢰가 폭발하며 함체를 손상시킴. 아크로열은 수리를 위해 지브랄타로 돌아가고 샤른호스트와 그나이제나우도 무사히 브레스트 항구로 돌아감. 여태까지 함재기 중 가장 무거운 함.. 2021. 6. 10.
항공모함 관련 이모저모 (1) 1982년 포클랜드 전쟁때 아르헨티나 공군의 주목표는 물론 영국 항모 Hermes와 Invincible. 그러나 격침시키려면 먼저 어디 있는지를 찾아야 하는데 조기 경보기가 없는 상황에서는 그게 불가능. 아르헨 공군이 쓴 방식은 포트 스탠리에 TPS-43 레이더를 갖다놓고 이걸로 영국 해리어기들의 비행을 탐지한 뒤 대충 그쪽 방향으로 비행기를 날려보내는 것. 영국 항모들도 부지런히 움직였으므로 그런 방식으로는 포착이 쉽지 않았고 결국 아르헨 공군은 한번도 두 항모의 위치를 제대로 포착한 적 없었음. 영국 해군도 아르헨 공군이 항모를 찾지 못하게 하려고 항모 앞에 구축함들을 깔아놓음. 아르헨 공군기들은 보이지 않는 항모를 찾기보다는 당장 눈 앞의 구축함을 공격하는 것을 선택. 그 때문에 항모들은 안전했으나.. 2021. 6. 3.
항모 및 기타 밀리터리 잡담 미국의 2번째 항모 USS Lexington (CV-2)은 원래 1916년에 전투순양함으로 건조되기 시작한 것인데 1922년에 항모로 개조. 단, 그때까지만 해도 "야간 혹은 폭풍우처럼 함재기 못 띄우는 상황에서 적함과 마주치면 어쩌지?" 라는 생각에 항모도 적함과 포격전을 벌일 수 있도록 8인치 2연장 포탑 4기를 유지. 이 포탑들은 1942년 초에 "아무리 봐도 힙하지 않아"라며 떼냄. 1986년, 리비아 카다피의 폭탄 테러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은 리비아를 폭격. 이른바 엘도라도 작전. 이를 위해 영국에 주둔한 F-111 폭격기를 이용했는데 프랑스와 스페인이 이 폭격에 대한 영공 개방을 거부하는 바람에 수천 마일을 우회함. 공중 급유 받으면 연료야 괜찮겠지만 조종사들 화장실은... (여기서 다시 한번.. 2021. 2. 25.
항공모함은 대체 어디에 ? (1) - 영화 '생존자들'의 재미있는 기술적 배경 경부 고속도로를 타고 차를 몰다 보면 머리 위로 미군 헬리콥터가 경부 고속도로를 따라 날아다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맞는 이야기인지 모르겠으나, 제가 알기로는 미군 헬리콥터가 경부 고속도로 인근으로 비행하는 이유는 그렇게 하면 길을 찾기 쉬우니까 그냥 그 도로를 따라 가는 거라고 합니다. 보통 전투기나 수송기 같은 고정익 항공기 조종사들이 헬리콥터 조종사들을 약간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 중 하나가 헬리콥터는 주로 낮에 저공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그냥 지도를 보고 가면 되므로 항법 공부를 할 필요가 사실 없는 것도 이유 중 하나라고 들었습니다. 다시 강조하지만 그냥 누가 하는 소리를 들은 것 뿐이고 실제로는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헬리콥터 중에도 각종 복잡한 항법 장치를 갖추고 야간 비행.. 2020.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