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모함17

WW2 중 항모에서의 야간 작전 (6) - 글로리어스의 고난 흔히 1941년 12월 일본해군의 진주만 습격은 1940년 11월 영국해군의 타란토(Taranto) 습격에 영감을 받아 이루어진 것이라고 말함.  그리고 실제로도 그랬음.  다만 영국해군이 타란토 습격의 본질인 항구에 정박한 적함을 뇌격기로 기습 공격한다는 개념 자체를 발명한 것은 아니었음.  그런 개념을 처음 공개한 것은 바로 미해군.  아니러니컬하게도 바로 진주만에 대한 워게임에서 나왔음.   아직 해전의 주역은 든든한 장갑과 대구경 주포를 갖춘 전함의 몫이고 항공모함의 역할은 어디까지나 전함의 작전을 위한 정찰이라는 생각이 주도적이던 1932년 2월, 하와이 방어를 위한 워게임이 벌어짐.  이때 공격군을 맡은 Harry E. Yarnell 제독은 사람들의 고정 관념을 깨버림.  야널 제독의 공격 함.. 2025. 3. 27.
WW2 중 항모에서의 야간 작전 (3) - 전열함의 시대 원래 전통적인 유럽식 해전은 전열함(ship of the line)들끼리의 싸움.  나폴레옹 전쟁 이전부터, 최소한 2열의 포갑판에 74문 정도의 대포를 장착한 거구의 전열함들이 마치 보병 대오를 이루듯 전열을 짜고 상대 함대와 대포질을 해대다, 결국 칼과 권총 등으로 무장한 수병들이 적함에 널빤지(board)를 대고 뛰어들어 백병전을 벌이는 것으로 끝남.  이렇게 적함에 뛰어드는 전투원들을 boarding party, 즉 승선조라고 불렀음. (트라팔가 해전에서의 넬슨의 기함 HMS Victory.) 그런데 그 시절에도 해군에는 프리깃(frigate) 함들이 있었음.  전열함들과는 달리 그냥 1열의 포갑판만 갖추고 40문 정도의 대포를 갖춘 프리깃들은 전열함보다 훨씬 작고 가벼워서 속도가 빨랐고 주로 정.. 2025. 2. 27.
과달카날에서의 레이더 이야기 (4) - 기술은 없어도 전술은 있다 1942년 8월초부터 과달카날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일본해군은 레이더를 경시했던 것을 땅을 치고 후회했을까? 꼭 그렇지는 않았음. 1) 일단 미해군의 CXAM 레이더는 결코 완벽하지 않았고 2) 레이더만으로 제로센을 쏘아 떨어뜨리지는 못했기 때문. 먼저, 8월 7일 새벽 미해병대가 미해군의 엄호하에 툴라기와 과달카날 등에 상륙하자, 라바울의 일본군 기지에서는 미쓰비시 G4M1 "Betty" 쌍발 폭격기 27대를 날려보내 상륙 함대를 공격. 일찌감치 이들의 내습을 알고 있던 미해군은 Wildcat 전투기들을 보내 요격하려 했으나, 문제가 2가지 있었음. 첫째, 이 27대의 폭격기에는 17대의 제로센 호위 전투기들이 딸려 있었음. 둘째, 언제나 그렇지만 CXAM 레이더는 포착된 적기의 고도 파악을 제대.. 2024. 2. 29.
포클랜드 전쟁 잡담 - 항모와 수송선 5월 21일 첫날 아르헨티나 공군기들의 폭격으로 피해를 입은 것은 HMS Ardent 뿐만이 (당연히) 아니었음. IAI Dagger 전투기들이 들이닥쳐 HMS Antrim에게 폭탄을 투하. 모두 불발탄이었나 대거 전투기들은 30mm 기관포로 기총 소사를 가한 뒤에야 돌아감. 이 첫날 전투부터 아르헨티나 공군의 폭탄에는 불발탄이 매우 많아서 이날 하루에만 총 13발의 폭탄이 불발로 끝남. 이어서 날아든 대거 전투기들은 HMS Argonaut와 HMS Broadsword(아래 사진1)를 노렸고, 이어서 다른 대거들이 날아와 HMS Brilliant를 공격. 그러나 쓸만한 단거리 대공 미쓸인 Sea Wolf를 갖춘 몇 안되는 구축함 중 한 척인 브로드소드의 시울프 미쓸이 위력을 발휘해 대거 1대를 격추시키고.. 2022. 4. 14.
항공모함 관련 잡담 (12/23) 항공모함의 개념이 도입되던 1920년대, 바다 위에서 굳이 비행기를 날려서 얻을 이익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해군은 뚜렷한 청사진이 있었음. 사정거리가 수평선 너머까지인 25km 이상으로 확장된 전함들의 눈 역할을 한다는 것. 아무리 사거리가 길고 명중률 좋은 주포를 가진 전함이라도, 수평선 너머에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적을 타격할 방법은 없음. 그러나 더 높이 올라가면, 즉 비행기를 띄워서 높은 곳에서 아군 사격의 탄착점을 볼 수 있다면 수평선 너머의 적을 정확히 타격하는 것이 가능. 전함을 뜻하는 battleship이라는 단어는 사실 전함의 본질을 정확히 표현하지는 못하고, 오히려 프랑스어 cuirassé (원래는 le navire cuirassé)가 정확히 표현. 즉 적 포탄을 견딜 두꺼운 장갑을 .. 2021. 12. 23.
항공모함 잡담 (9/30) 로열 네이비의 자랑은 청결함. 매일 성마석(holystone)과 모래로 갑판 바닥을 뽀득뽀득 닦았음. 그러나 청결함은 주로 상갑판 정도에서 끝났고, 18~19세기 범선들에서는 항상 악취가 났음. 그 주된 범인은 (목욕 못하는 선원들의 몸을 제외하면) orlop deck에 저장된 닻출과, 거기서 스며나온 진흙 섞인 바닷물이 뱃바닥에 고인 bilge water. 사진1에서 붉은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가장 낮은 갑판인 orlop deck. 여기에 저장되는 닻줄에서는 왜 항상 악취가 났을까? 닻줄을 가장 많이 던지게 되는 곳은 당연히 항구. 항구는 얇음. 당연히 진흙이 있고, 특히 인간이 많이 사는 곳이니 인간의 몸에서 배출되는 온갖 오물이 바다 바닥에도 쌓임. 그래서 (위생 관념이 없던 시대엔 특히) 항구 바닥.. 2021. 9. 30.
밀리터리 잡담 (9/23) 일본은 병사들의 밤 눈이 밝은 것으로도 유명했으나 불행히도 과대망상의 기질이 농후하여 정찰병으로서의 자질은 빵점. 1942년 5월 Coral Sea 해전에서도 일본 정찰기가 2만톤급 유조선 USS Neosho (AO-23)를 보고 '미해군 정규 항모 1척 발견!'이라고 호들갑. 두대의 일본 항모에서 총 78대의 함재기가 날아왔다가 허탕을 치고 이 불쌍한 유조선을 맹폭. 그런데 7방의 직격탄을 맞고도 침몰하지 않고 4일간이나 떠있다가 결국 승무원들은 미군 구축함에게 구조됨. 이때의 일본해군이 헛발질하는 덕분에 열세였던 미해군이 위기를 벗어나고 미드웨이에서 반격할 수 있었음. 뒤이어 레이테만 해전에서도 누가 봐도 조그맣고 귀여운 호위항모들을 보고 '미해군 정규 항모들의 대함대를 발견!'이라고 호들갑 떠는 바.. 2021. 9. 23.
항모 관련 잡담 (9/2) 영화 미드웨이를 보면 어뢰를 쏘는 뇌격기는 맞아죽기 딱 좋을 뿐이고 (un-PC주의) '남자라면' 급강하 폭격기가 역시 쵝오라는 생각이 들지만 1943년 하반기부터 본격 투입된 Casablanca급 호위항모들의 표준 구성은 전투기와 뇌격기의 28대 조합. 왜 급강하 폭격기가 빠졌을까? 이유는 크게 3가지. 1) 호위항모의 주임무는 대잠전 그에 따라 어뢰와 폭뢰, 큰 폭탄 작은 폭탄 등을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는 뇌격기가 더 적합했음. 2) 그냥 전투기가 해도 되네? (사진1) F6F Hellcat과 F4U Corsair 같은 대형 전투기가 나오면서 얘들이 장착하는 폭장량이 급강하 폭격기를 능가. 게다가 특히 로켓탄이 도입되면서 그냥 전투기에서 쏘아대는 로켓탄이 훨씬 더 정확하고 안전하게 목표물을 타격하게.. 2021. 9. 2.
항공모함 관련 잡담 (8/19) 아래 두 사진은 같은 배. 원래 미국에서 상선 기반으로 만든 Bogue급 호위항모였으나 영국 해군에 공여되어 호위항모 HMS Searcher (1만4천톤, 18노트)로 활약. 전후 그리스에 팔려 SS Captain Theo로 한때 해운왕국 그리스의 부흥에 기여. HMS Searcher는 1945년 5월 4일 노르웨이의 U-boat 기지를 공습하여 U-boat 지원함 2척과 U-boat 1척을 격침한 3척의 호위항모 중 1척. 이 공습이 영국 해군 항공대 최후의 공습 작전. 왜냐하면 저 공습은 5월 4일 독일해군 항복 이후 벌어진 공습이라서... 영국 조종사 4명 사망, 독일 해군 150명 사상. 1956년 냉전이 한창이던 대서양 공해상. 훈련중인 미해군 제6함대 항모전단을 향해 당시 소련의 최신예 폭격기.. 2021. 8. 19.
항공모함 잡담 (7/15) 20세기 들어서 미해군이 적에게 나포 당한 군함은 딱 2척. 그 중 하나는 1942년 필리핀 코레히돌 요새에서 일본군의 폭탄 공격에 손상을 입고 침몰했던 950톤짜리 소해정 USS Finch (AM-9). 이 배는 분명히 침몰했었는데 얕은 바다에 침몰했던지라 일본군이 건져내어 순찰선으로 사용. 그래서 이게 진짜 나포 당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아무튼 나포 당한 군함으로 기록됨. 변명의 여지 없이 진짜 나포된 배는 바로 정보 수집함 USS Pueblo (AGER-2). 1968년 북한 해군에게 나포됨. 83명의 승조원 중 1명은 이 과정 중 사살되고 나머지는 모조리 포로가 됨. 김신조가 박정희 죽인다고 청와대 습격한지 3일 후 벌어진 일. 이 군함은 현재 평양 보통강변에 박물관으로 정박되어 있음. 심지어.. 2021. 7. 15.
밀리터리 잡담 (7/1) WW2 후반부에 나온 F6F Hellcat에 비해 모든 면이 떨어졌던 F4F Wildcat은 의외로 대전 말까지 생산이 계속됨. 왜 저성능 싸구려 함재기를 계속 생산했을까? 바로 상선을 개조해 만든 소형 저속력 항모인 escort carrier 때문. 호위항모는 18노트로 워낙 느려서 충분한 맞바람을 일으킬 수 없었고 또 너무 작아서 착함 속도가 매우 느려야 했는데, 헬캣이나 콜세어 같은 신형 함재기들은 크고 무겁고 빨라서 호위항모에서의 이착함이 어려웠음. 그래서 와일드캣에게도 역할이 주어진 것. 세상에 쓸모 없는 사람이나 물건은 없음. 제 역할을 찾지 못했을 뿐임. 이들은 북해의 차갑고 거친 바다에서 독일공군 장거리 폭격기를 몰아내고 드넓은 태평양에서는 일본해군기로부터 함대를 지켰음. 레미제라블, 빅토.. 2021. 7. 1.
항공모함 관련 잡담 (6.24) 표면적으로 보면 일본해군이 미드웨이 육상기지를 한번 더 공격할까 아직 탐지하지도 못한 미항모들을 공격할까 망설이다가 습격을 받는 바람에 망한 것이지만, 좀더 사정을 살펴보면 궁극적으로는 당시 항모들은 (미국이나 일본이나) 함재기들을 착함시킬 때는 아무 것도 이함시킬 수가 없다는 것, 반대로 이함시킬 때는 아무 것도 착함시킬 수가 없다는 것에 원인이 있음. 당시 일본해군은 미드웨이 1차 공격을 갔다가 돌아오는 함재기들을 착함시키느라 예비로 두었던 2차 공격대를 이함시킬 수가 없었음. (그럴 바에야 2차 공격대를 왜 우물쭈물 남겨뒀는가라는 비난은 피할 수 없음) 암튼 당시 이착함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는 이유는 저 직선 비행갑판 때문. 이함하려는 항공기들은 비행갑판 앞쪽 절반, 캐터펄트를 쓰는 경우는 1/3.. 2021.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