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란토5 WW2 중 항모에서의 야간 작전 (12) - 어뢰 방어망은 대체 왜? 정찰기로 개조된 경폭격기 Martin Maryland 3대가 번갈아가며 열심히 찍어온 타란토의 항공 사진을 분석하면서 분석관들이 유심히 살펴본 것은 방파재와 섬 등 지형은 물론 군함들의 정박 위치와 척수, 그리고 대공포와 탐조등 진지들의 위치 등등. 또 군함들, 특히 주목표물인 전함들 주변에 둘러쳐 있을 어뢰 방어망의 위치. 항공사진을 분석해보니 전함 계류장에는 예상대로 어뢰 방어망이 설치되어 있었음. 그런데 전함들 전체를 방어하려면 총 12.6km의 그물이 필요했는데, 실제로 설치된 그물은 그 1/3 수준인 4.2km. 그나마 공습 직전에 찍은 사진을 보니 11월 초에 불어닥친 폭풍 덕분에 그 중 상당 부분인 2.9km 정도의 그물이 해안가에 끌어올려져 수리를 기다리고 있었음. 영국군 정찰기가 타.. 2025. 5. 8. WW2 중 항모에서의 야간 작전 (11) - 정찰 없이는 공격도 없다 군사작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보. 그 어떤 화력도 방호력도 막대한 군수물자도 정보만한 가치를 가지지 못함. 타란토 습격 작전 같은 경우, 좌표와 수심, 지형 등의 정보는 수만년 전부터, 그리고 부두 시설 등은 수백년 전부터 고정되어 있는 항구이니 정보가 그렇게까지 중요하지는 않을 것 같지만 절대 그렇지 않음. 가장 중요한 정보는 타란토에 과연 어떤 군함들이 얼마나,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느 위치에 정박하고 있는지 하는 부분. 그리고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대공포와 탐조등, 그리고 어뢰 방어망 등의 방어시설이 어떻게 설치되어 있느냐 하는 것. 특히 군함이란 부동산이 아니라 동산이므로, 공습 바로 직전의 정보가 절실하게 필요. 그런 정보를 알아내는 것에는 간첩 등등의 다양한 수단이 동원되.. 2025. 5. 1. WW2 중 항모에서의 야간 작전 (10) - 섶을 지고 불 속으로 타란토 군항을 뇌격기로 습격하는 작전 계획의 명칭은 'Operation Judgement' (심판 작전). 영국해군 일부 장교들은 이 위험한 작전에 대해 '심판 받는 쪽이 과연 이탈리아 해군이냐 영국해군이냐'라며 불안해하기도. 실은 실제 적탄에 노출될 소드피쉬 조종사들의 불안감은 매우 높았음. 한 조종사는 '경기병 여단(Light Brigade)의 돌격 때도 지휘부가 그런 결과를 예측하고도 돌격 시켰겠냐'라며 불만을 터뜨리기도. (여기서 말하는 경기병 여단의 돌격이란 1854년 크리미아 전쟁 때 제7대 카디건 공작(7th Earl of Cardigan)인 제임스 브루드넬(James Brudenell)이 감행했던 발라클라바 (Balaclava) 전투에서의 돌격을 말하는 것. 러시아군 포병들이 완벽한.. 2025. 4. 24. WW2 중 항모에서의 야간 작전 (9) - 대체 어떻게 한 거야? 일단 낮이건 밤이건 항구에 정박한 전함들을 공격하는 것에는 본질적인 문제가 있었음. 일단 수심. 항구는 당연히 수심이 대양보다는 무척 얕음. 폭탄으로 공격할 때는 문제가 안될 테지만 어뢰로 공격하자니 이게 심각한 문제였음. 전에도 언급했듯이, 보통 항공어뢰는 투하되면 일단 21m 이상의 깊이로 잠수했다가 목표를 향해 돌진하면서 수심 유지 장치에 의해 미리 정해둔 심도로 조금씩 떠오르게 되어 있음. 그런데 타란토 항구에서도 전함들이 정박하는 계류장의 평균 수심은 15m에 불과. 결국 평소 하던 대로 어뢰를 투하하면 그 어뢰들은 모조리 타란토 항구의 진흙바닥에 쳐박히게 된다는 소리. 이 문제는 1941년 12월 진주만을 습격했던 일본해군 뇌격기들도 직면했던 문제. 흔히 일본해군은 그 문제를 타란.. 2025. 4. 17. WW2 중 항모에서의 야간 작전 (6) - 글로리어스의 고난 흔히 1941년 12월 일본해군의 진주만 습격은 1940년 11월 영국해군의 타란토(Taranto) 습격에 영감을 받아 이루어진 것이라고 말함. 그리고 실제로도 그랬음. 다만 영국해군이 타란토 습격의 본질인 항구에 정박한 적함을 뇌격기로 기습 공격한다는 개념 자체를 발명한 것은 아니었음. 그런 개념을 처음 공개한 것은 바로 미해군. 아니러니컬하게도 바로 진주만에 대한 워게임에서 나왔음. 아직 해전의 주역은 든든한 장갑과 대구경 주포를 갖춘 전함의 몫이고 항공모함의 역할은 어디까지나 전함의 작전을 위한 정찰이라는 생각이 주도적이던 1932년 2월, 하와이 방어를 위한 워게임이 벌어짐. 이때 공격군을 맡은 Harry E. Yarnell 제독은 사람들의 고정 관념을 깨버림. 야널 제독의 공격 함.. 2025. 3.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