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W12

WW2의 수정 이야기 (2) - 잠수함을 찾는 수정구슬...아니 수정판 1880년, 피에르 퀴리(Pierre Curie)와 그 동생 자끄 퀴리(Jacques Curie)는 압전(壓電) 효과, 즉 piezoelectric effect을 실험으로 입증.  압전효과라는 것은 토파스나 수정, 소금 등의 결정체(crystal)의 전하량이 기계적 응력(stress)에 따라 변화하고, 또 그 역으로도 변화하는 현상.  그러니까 수정 결정체에 압력을 가하면, 그 수정에 연결된 전기선을 통해 신호가 발생하고, 반대로 전기 신호를 주면 수정 결정체의 모양이 변화하며 기계적 압력이 발생하는 것.   (압전 성질을 가진 결정체 디스크의 모양이 변화하면서 전압을 만들어내는 모습을 (과장하여) 보여주는 그림) (퀴리 형제가 압전효과를 실험할 때 쓴 것과 비슷한 장치.  저 장치를 Curie comp.. 2024. 10. 3.
1918년, 초소형 항공모함과 제펠린 이야기 덴마크 서해안과 독일 북해안이 이루는 만이 그 가운데 있는 작은 섬의 이름을 따서 Heligoland Bight라고 부름. 이 헬리골란트 만은 1914년 벌어진 해전 이후 영국 해군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철저히 독일군이 장악한 바다. 바다엔 독일 해군 함정들도 있지만 독일 해군이 기뢰를 잔뜩 깔아 놓았기 때문. 그래도 이 일대에 기지를 둔 독일 해군 잠수함과 제펠린 비행선이 뭘 하고 있는지 정찰은 해야 하는데, 영국 해군 수상함정으로는 접근이 안 되니 항공기로라도 접근을 해야 함. 그러나 당시 항공기들은 그렇게 항속 거리가 길지 않아, 영국에서 이륙해서는 거기까지 왕복이 안 됨. (지도 오른쪽 윗부분에 보이는 섬이 Heligoland이고 그를 둘러싼 막힌 바다가 Bight of Heligoland.).. 2023.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