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önigstein2

라이프치히로 가는 길 (5) - 우유부단 블뤼허가 이렇게 그로스엔하인의 뮈라를 기습하기 위해 공을 들였으나, 9월 21일 날아온 그로스엔하인에 대한 정찰 보고서는 블뤼허를 당황하게 만들었습니다.  뮈라가 그로스엔하인을 버리고 남서쪽으로 물러났다는 것이었습니다.  바로 그 다음날, 여태까지 후퇴만 거듭하던 막도날로부터 전에 없이 강력한 총공세가 시작되어 블뤼허를 더욱 황당하게 만들었습니다.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었던 것일까요? 블뤼허가 이렇게 뮈라를 들이칠 계획을 짜고 있는 동안, 나폴레옹이라고 그냥 앉아서 멍하니 있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는 역으로 그로스엔하임의 뮈라를 쾨니히스브뤽으로 진격시킬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에 대응하느라 블뤼허의 전선이 어지러울 때 막도날이 다시 바우첸을 탈환하도록 하는 것이 나폴레옹의 기본 계획이었.. 2024. 11. 25.
드레스덴 전투 (1) - 하늘과 땅과 사람 슈바르첸베르크가 페터스발트 고갯길을 거쳐 드레스덴을 들이친 것은 분명히 나폴레옹의 의표를 찌른 멋진 작전이었습니다. 아무리 나폴레옹이 다 계산 안에 있던 움직임일 뿐이라며 침착한 척 했지만, 상황은 매우 위태로웠습니다. 당시 전황은 마치 새끼곰을 지키는 어미곰 한 마리를 사냥개 세 마리가 둘러싸고 위협하는 것 같은 상황이었는데, 그 새끼곰이 바로 드레스덴이었습니다. 드레스덴은 작센 왕국의 수도라는 상징성과 교통의 요지라는 점 외에도 그랑다르메의 온갖 군수품이 쌓인 보급 중심지였기 때문이었습니다. 어미곰이 동쪽 사냥개인 블뤼허를 거세게 쫓아내느라 잠깐 자리를 비운 사이에 남쪽 사냥개가 새끼곰의 뒷다리를 덥썩 물고 끌고가려는 상황이 8월 22일의 상황이었습니다. 페터스발트 고갯길을 넘은 보헤미아 방면군은 거.. 2024.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