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프더프2 무선침묵 이야기 (9) - 연합군에는 신기술이, 독일해군에는 대응책이 있다 허프더프를 군함에 설치할 수 있게 결정적인 개선 사항을 만들어낸 사람은 바로 동쪽에서 흘러들어온 난민. 1904년 생인 폴란드인 바츠워프 스트루신스키(Wacław Struszyński)는 바르샤바 공대에서 석사학위까지만 마치고 폴란드 국영 통신사에서 방향 탐지 기술부에서 일하던 전기공학자. 1939년 나찌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자 어렵게 탈출하여 1940년 영국에 도착. 실은 개인 자격으로 알아서 피난길에 나선 것은 아니었고 국영 기업에서 당시 첨단 기술이던 전파 공학을 하던 기술자라고 영국에 의해 소개된 것. 참고로 스트루신스키의 아버지는 아들보다 더 가방끈이 긴 사람으로서, 화학 박사이자 바르샤바 공대 교수였는데 영국에서 화학자는 별로 쓸모가 없었는지 소개시켜주지 않아 나찌 독일 치하에 남아야.. 2024. 9. 19. 무선침묵 이야기 (8) - 허프더프의 활약 지난 편에서 언급한 것처럼, 대서양의 U-boat들은 매일 유럽 대륙의 사령부로 타전해야 하는 보고서를 보내는데 있어 쿠어츠지그날(Kurzsignale)을 사용하게 되면서 약 20초 정도만 전파를 발신했으므로, 그런 짧은 시간 동안만 지속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연합군의 구축함이나 초계기들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음. 그러나 1942년 이후, 유보트들은 보고문을 타전하고 나면 얼마 안 있어 연합군 초계기 또는 구축함이 자기 위치로 득달처럼 달려오는 현상을 자주 발견. 처음엔 우연이겠거니 혹은 저 친구들이 운이 좋아서 짧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전파 방향 탐지에 성공했겠거니 생각했으나, 점점 그 횟수가 늘어나면서 이건 우연도 운도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됨. (이 벨리니-토시 전파 방.. 2024. 9.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