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란덴부르크2

덴너비츠 전투 (3) - 남자가 한을 품으면 잔나(Zahna)를 지나 위터보그(Jüterbog)로 가는 길은 작센과 브란덴부르크 즉 프로이센의 국경 지대였는데, 이 일대는 그야말로 평야 지대로서 간간히 나타나는 낮은 언덕, 시냇물과 습지 외에는 거의 아무런 장애물이 없었습니다.  원래 군대가 행군할 때는 소규모 정찰대를 앞세워 지형과 함께 적의 출현을 경계하는 것이 정상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런 정찰대로 쓰라고 존재하는 것이 바로 기병대였습니다.  그런데 위터보그를 향해 진격하던 네의 베를린 방면군은 희한하게도 그런 정찰기병대를 두지 않고 행군하고 있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뚜렷한 이유가 알려지지 않고 있는데, 아마 당시 공포의 대상이었던 코삭 기병대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 아니었을까 합니다.  소규모 기병대를 앞세웠다가 혹시라도 코삭들과 마주치.. 2024. 7. 22.
잃어버린 프로이센의 영토와 클로제 1807년 나폴레옹이 러시아 군을 격파하고 마침내 굴복을 받아낸 프리틀란트는 동부 프로이센의 주도인 쾨니히스베르크(Königsberg) 근처에 있는 지역입니다. 쾨니히스베르크는 독일어로 '왕의 산'이라는 뜻이고, 프로이센 공국의 수도였습니다. 지금 이 도시는 러시아 발트 함대의 모항인 칼리닌그라드(Kaliningrad)라는 이름의 러시아 도시가 되어 있습니다. 왜 그렇게 유서 깊은 독일 도시가 러시아 영토가 되었을까요 ? 예전에 독일 도시였다면 그곳에 살던 독일인들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 또, 지금 독일이 다시 매우 강대국이 되어 있는데, 독일 내에서 이렇게 잃어버린 옛영토를 되찾자는 움직임은 없을까요 ? (쾨니히스베르크의 모습입니다. 아마 19세기 말 정도의 모습인가봐요 ?) 전에도 다룬 바 있습니다만.. 2018.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