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재2

영국의 전략 자원 - 노르웨이의 숲 ** 개인 사정으로 오늘은 과거 글을 재탕합니다.  죄송합니다.제가 처음 읽은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은 "상실의 시대" 또는 "노르웨이의 숲"이었습니다.  대체 이 난봉꾼 주인공의 문란한 성생활을 그린 소설 내용과 노르웨이의 숲과는 무슨 상관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들 의아해하셨을 겁니다.  그 소설 제목의 원천이 되었던, 비틀즈의 동명곡의 가사에서도 Norwegian wood, 즉 노르웨이산 나무라는 것이 무엇을 뜻하느냐에서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소설 속에서 이를 노르웨이의 숲이라고 해석했는데, 가사 내용을 보면 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를 '노르웨이산 가구'라고 번역해야 하는데, 하루키가 잘 모르고, 혹은 일부러 오역을 했다고도 합니다. 원래의 뜻은 정말.. 2025. 1. 27.
무엇이 전열함을 죽였는가? - 나폴레옹 시대 군함의 수명 이야기 현대적인 군함들의 수명은 대략 몇년일까요 ? 저도 고딩 시절에 한때 해군사관학교 진학이 꿈이라서 관심이 좀 있는 편이었습니다. 그때 들은 이야기가, 당시 우리나라의 주력함인 구축함들은 미군이 2차세계대전 이후 쓰던 것을 60년대에 한국에게 넘겨준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중 인상적인 부분이, 그 통로나 선실의 쇠바닥에는 미끄럼 방지용으로 원래 격자 무늬가 양각으로 새겨져 있었는데, 당시 우리나라 구축함들은 그 격자 무늬가 다 닳아서 매끈매끈 해졌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사실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결국 사관학교 안 갔거든요. 네이버 같은 곳을 찾아보니, 돈많은 미국같은 나라는 대개 군함의 수명을 30~40년으로 잡는 모양입니다. 아마 더 오래 쓸 수도 있지만, 유지 보수비도 많이 들고, 또 30~40년전의.. 2016.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