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폴레옹312

아스페른-에슬링 7편 - 고민과 선택 새벽이라고 부르기에도 너무 이른 시각이었던 5월 22일 새벽 3시 경, 이미 나폴레옹은 말 안장에 올라타 있었습니다. 그는 밤 사이에 란의 제2 군단 병사들이 도나우 강을 건너 좌안으로 이동하는 것을 직접 감독하느라 거의 쉬지 못했으나, 별로 피곤한 줄도 몰랐습니다. 이제 몇 시간 뒤면 오스트리아군 주력을 격파할 생각에 부풀어 있었으니까요. 그의 기본 계획은 그 전날 전투에서 목격한 오스트리아군의 어설픈 배치의 틈을 파고드는 것이었습니다. 오스트리아군은 아스페른에 병력을 집중하고 있었고, 에슬링에 대한 공격은 다소 느슨했는데, 그 두 마을 사이의 중앙 평원에 대해서는 병력이 그다지 많지 않았습니다. 나폴레옹은 그 중앙을 돌파할 생각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항상 프랑스군의 선봉을 맡았던 란이 다시 한번 그.. 2017. 3. 19.
아스페른-에슬링 6편 - 격돌 5월 21일 오전, 아스페른과 에슬링의 2개 마을에 포진한 프랑스군을 공격하는 오스트리아군은 8만4천의 보병과 1만4천이 넘는 기병, 그리고 무려 292문의 대포를 동원하고 있었습니다. 그에 비해 나폴레옹은 고작 2만2천의 보병과 3천이 채 안되는 기병, 그리고 고작 52문의 대포를 도나우 강 좌안에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렇게 압도적인 오스트리아군은 그러나 다소 어정쩡한 진형으로 프랑스군을 공격하고 있었습니다. 즉, 힐러(Hiller)와 벨가르드(Bellegarde), 그리고 호헨촐레른(Hohenzollern)이 각각 이끄는 3개 군단이 북쪽으로부터 아스페른을 향했고, 에슬링으로는 데도비히(Dedovich)가 대리 지휘하는 로젠베르크(Rosenberg)의 군단이 접근하고 있었습니다. 로젠베르크 본인은 본.. 2017. 3. 12.
아스페른-에슬링 5편 - 한밤의 멱살잡이 프랑스군이 처음으로 도나우 강 좌안에 발을 내딛은 5월 20일 밤, 오스트리아군의 거센 저항이 있을까 두려워하던 프랑스 지휘관들은 의외로 조용한 주변의 동정에 다소 놀랐고, 일단 안심하면서도 불안했습니다. 기병대를 이끌고 주변을 한바퀴 돌았던 베시에르는 주변에 적은 없다는 입장이었습니다. 란은 오스트리아군이 후퇴하면서 아마 1개 사단 정도의 병력을 후위대로 남겨 놓았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한밤중에 아스페른 교회 종탑까지 직접 올라가 주변을 둘러보았으나 적의 존재는 감지할 수가 없었던 마세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은 머지 않은 곳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최고위급 지휘관 3명의 의견이 제각각이었으므로, 이들은 21일 새벽 2시 일단 로바우 섬으로 되돌아갔습니다. 나폴레옹이 거.. 2017. 3. 5.
아스페른-에슬링 4편 - 카알 대공의 생각 몰리토르(Molitor) 장군의 프랑스군 선발대가 로바우 섬에서 오스트리아군 수비대를 쫓아내고 있던 5월 19일 아침까지만 하더라도 카알 대공은 나폴레옹이 뉘스도르프 혹은 다른 어디로 도강할 것인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놀랍게도 오스트리아군 사령부에서는 5월 18일 저녁부터 이루어진 프랑스군의 도강을 모르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는 카알 대공이 오스트리아군 본대를 도나우 강가에서 멀리 떨어진 후방에 위치시켜 놓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송양지인은 십팔사략에 나오는 고사로서, 춘추전국시대 송나라 양공의 일화입니다. http://blog.daum.net/wahnjae/17994302 참조) 송양지인(宋襄之仁)이라는 중국 고사성어에서도 나오듯이, 강을 건너는 적은 그야말로 상대하기 가장 쉬운 상대였습니다. .. 2017. 2. 26.
아스페른-에슬링 3편 - 순조로운(?) 도하 포병 전문가인 베르트랑 장군의 계산에 따르면 대포가 건널만 한 부교를 짓기 위해서는 20피트, 즉 약 18미터마다 한 척의 보트가 필요했습니다. 그러자면 최소 80척의 보트가 필요했는데, 비엔나 일대를 나흘 동안 미친 듯 뒤지니 90척의 보트를 모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중 부교 건설에 사용될 만한 상태인 것은 70척 뿐이었고 그나마 부교를 위해 보트를 고정시키는데 꼭 필요했던 닻은 정말 구할 수가 없었습니다. 나폴레옹은 속이 탔습니다. 그는 작업 현장에 계속 참모를 파견하여 널빤지가 어쩌고 로프가 어쩌고 하는 지극히 잡다한 보고를 일일이 직접 챙기며 부교 건설을 위한 자재 확보에 심혈을 기울였고, 마침내 충분한 수의 보트를 확보하여 5월 19일부터는 부교 건설 작업에 들어갈 수 있다는 보고를 받았.. 2017. 2. 19.
아스페른-에슬링(Aspern-Essling) 1편 - 도나우 강의 푸른 물결 (ㄹ혜와 가족 여행 때문에 오랫동안 중단되었던 제5차 대불동맹전쟁 다시 시작됩니다. 짧더라도 매주 연재하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지난 편에서는 1809년 5월 13일 나폴레옹이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Wien)을 다시 정복하는 모습과, 5월 17일 카알 대공이 린츠(Linz)에서 반격을 꾀했으나 처참하게 실패하는 모습을 보셨습니다. 이제 이야기는 운명의 아스페른-에슬링(Aspern-Essling) 전장을 향해 달려갑니다. 1809년 5월, 모든 상황은 나폴레옹의 최종 승리를 낙관하게 했습니다. 적국의 수도도 점령했고, 군의 보급과 사기도 매우 양호했으며, 병력도 프랑스군이 더 우세했습니다. 1805년 아우스테를리츠 전투를 앞둔 상황도 지금처럼 유리하지는 않았습니다. 당시엔 물러난 오스트리아군이 러시아군과 .. 2017. 2. 5.
감자 전쟁 - 왜 나폴레옹의 병사들은 옥수수를 먹지 않았을까 전에도 몇 번 인용했던, 하인리히 E. 야콥이라는 분이 지은 '빵의 역사'라는 책에는 프랑스 대혁명 직후, 빵을 달라며 난동을 부린 억센 아주머니들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당시 혁명 정부의 무능함과 상인들의 탐욕, 그리고 혁명과 전쟁의 혼란이 겹쳐 파리에서는 정말 빵은 커녕 밀가루를 구하기도 어려운 형편이라서, 분노한 아주머니들이 주동이 된 군중이 빵집 주인은 물론 국민공회의 의원까지 닥치는 대로 살해하는 끔찍한 비극까지 일어났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이 수년간 계속 되는데, 대체 파리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요 ? '빵이 없으면 케익(정확하게는 브리오슈)을 먹으면 될 것이 아닌가?' 라는 말처럼, 정말 케익을 먹었을까요 ? 물론 아닙니다. 이 '빵의 역사'란 책에도, 파리 시민들은 오로지 밀가루로 만.. 2017. 1. 30.
스페인 여행기 (4) - 김태희 광장의 벽화들 세비야에는 알카사르 궁전과 세비야 대성당 외에도 특히 한국인들에게 유명한 명소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김태희 광장입니다. 현지인들은 그 광장을 에스파냐 광장(Plaza de España)라고 부르더군요. (왜 에스파냐 광장이 김태희 광장으로 더 유명한지 모르시는 분은... 그 젊음이 부럽습니다 !) 이 광장은 스페인의 전성기에 만들어진 것은 아니고, 1929년 스페인어권 이베리아-아메리카 박람회를 위해 만들어진, 비교적 현대적인 장소입니다. 그러다보니 이 명소에 얽힌 역사적 이야기 같은 것은 별로 없습니다. 이 광장에는 양쪽에 2개의 탑이 있는데, 이 탑들의 높이가 세비야 대성당의 유명한 종탑 히랄다(Giralda)와 맞먹을 정도로 높게 설계되자 세비야 전체가 들고 일어나 난리를 피웠다는 것 정도입니다... 2017. 1. 16.
스페인 여행기 (3) - 알함브라에 얽힌 두가지 이야기 이번 스페인 여행에서 가장 기대가 컸던 곳은 알함브라 궁전이었는데, 실제로 본 알함브라는 그 기대치를 100% 충족시켜주었습니다. 알함브라는 약 700년 간 이슬람의 통치를 받았던 스페인의 특색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곳인데, 그 이름은 아랍어인 알-함라(Al-Ḥamra), 영어로 직역하면 The Red 정도로 번역됩니다. 이 궁전은 그냥 연한 황갈색이고, 주변 토양이 붉기는 하지만 이름의 기원은 이 요새를 약 9세기 경 이 장소에 맨 처음 세운 아랍 족장의 별명이 알-함라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알함브라는 10년 20년 사이에 지어진 하나의 건물이 아니고, 여러 채의 궁전과 요새, 정원이 수세기에 9세기부터 14세기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에 걸쳐 지어진 건물 복합체입니다. 이 건물의 전체적인 구성과 아름다.. 2017. 1. 8.
영국군과 프랑스군, 누가 더 잘 먹었을까 ? - 나폴레옹 시대의 군대밥 이야기 최근 영국이 노후된 뱅가드급 핵잠수함을 대체할 드레드노트급 핵잠수함의 건조를 발표했습니다. 그 사양을 보다보니, 눈에 들어오는 것 중 하나가 130명의 승조원에 1명의 의사와 3명의 요리사(chef)가 포함되어 있다는 부분이었습니다. 쉐프를 3명이나 태우다니 잠수함 승조원들을 정말 잘 먹이려나 보다 싶지만, 그래봐야 영국인 조리병를 태울테니 드레드노트 승조원들은 암울한 식사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할 것 같습니다. 나폴레옹 시대 때도 영국 요리는 유명했을까요 ? 예, 유명했습니다. 몇가지 관련 부분을 나폴레옹 전쟁 당시 영국군 장교의 모험담을 그린 서양 무협지 Sharpe 시리즈에서 발췌해 보았습니다. -- Sharpe's Enemy by Bernard Cornwell (배경: 1812년, 포르투갈) ---.. 2016. 10. 23.
나폴레옹 시대의 해전 역사상 가장 유명한 함대라고 하면 16세기 말의 스페인 무적 함대 또는 20세기 초의 러시아 발틱 함대 정도를 들 수 있겠습니다만, 역시 스페인 무적 함대가 더 유명하겠지요. 결론적으로는 이 두 함대 모두 기대와는 달리 풍비박산이 났습니다만, 사실 당시에도 그 '기대'는 현실감이 없는 지배층의 기대였고, 실제 항해를 떠나는 두 함대 실무자들의 마음은 매우 무거웠다고 합니다. 자신들의 준비 상태가 엉망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으니까요. (개럿 매팅리의 '아르마다'입니다. 한글판도 있고, 저는 한글판으로 읽었습니다. 매우 재미있습니다. 퓰리처 상도 받은 명작입니다.) 아뭏든, 당시 개박살이 난 스페인 무적 함대의 경과를 그린 개럿 매팅리의 '아르마다'라는 책을 읽어보면, 스페인 함대가 진 이유가 결코 영국군.. 2016. 10. 20.
빵과 금화 - 나폴레옹 시대의 징발 이야기 아우스테를리츠 전투 직전이던 1805년 11월, 린츠(Linz)로부터 빈(Wien)을 향해 전진하던 란의 제5 군단은 (전투 현장에서는 언제나 그랬습니다만) 심각한 보급 부족으로 큰 고생을 하고 있었습니다. 매일매일 진흙투성이 길로 강행군을 하는데다 추운 늦가을에 노숙을 하는 것도 고달픈데, 먹을 것까지 부족하니 장교들이나 병사들이나 모두 지치고 신경이 날카로운 상태였지요. 그때 란의 개인적인 형편은 더욱 안 좋았습니다. 아팠거든요. 란은 아픈 상태에서도 부하들이 겪고 있던 보급 부족에 대해 신경을 썼습니다. 그래서 내린 명령이 이런 것이었지요. "어떤 병사 또는 부대라도, 약탈, 사사로운 싸움 및 위협을 하다가 적발되거나 장교를 구타할 경우 즉각 총살될 것이다. 집행 권한은 사단장이 행사한다." 이에 .. 2016. 1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