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러시아51

이탈리아 사내들의 열정 - 말로야로슬라베츠 전투 말로야로슬라베츠를 선점당한 독투로프는 아차 싶었지만 자세히 보니 외젠의 이탈리아 군단 주력 부대는 아직 말로야로슬라베츠에 방어진지를 구축한 상황은 아니었습니다. 약 2개 대대 정도만이 마을을 점거하고 있었고, 나머지 대부분의 부대는 루즈하 강의 건너편인 북쪽 강변에 캠프를 치고 있었습니다. 루즈하 강은 말로야로슬라베츠에서 북쪽이 열린 반원형을 그리며 크게 휘어 북서쪽을 향해 흐르는 강이었습니다. 말로야로슬라베츠는 그 반원호의 정점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는 마을이었는데, 나폴레옹이 메딘(Medyn)을 거쳐 서쪽 스몰렌스크로 가려면 루즈하 강을 건너야만 했고, 그러기에 가장 좋은 곳이 바로 여기 말로야로슬라베츠에 놓인 다리였습니다. (루즈하 강의 대략적인 지도입니다. 우하단의 만곡부에 말로야로슬라베츠가 있습.. 2021. 5. 24.
나폴레옹 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 그 놀라운 유사성 최근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이 나폴레옹을 추모하며 '그의 공과 과를 모두 끌어안아야 한다'라고 했다지요? 전통적으로 프랑스의 지도자들은 나폴레옹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어지간하면 회피합니다. 그만큼 기피 인물이라는 소리입니다. 그리고 거기에는 이유가 있지요. 나폴레옹은 사실상 당대에는 히틀러급 인물이었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과거를 통해 배웁니다. 그래서 모든 나라의 중요 교과목에는 반드시 역사가 포함되어 있는 것입니다. 게다가 역사는 되풀이된다고 하지요. 실제로 많은 역사가 되풀이되었고, 이는 특히 주식 시장에서 그렇습니다. 에드워드 챈슬러라는 영국 기자가 쓴 "금융투기의 역사" (국일증권경제연구소 펴냄)에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인간이라는 동물은 정말 놀랍다. 어떻게 똑같은 덫에 한번도 빼먹지 않고 걸.. 2021. 5. 13.
Go back ! Go back ! - 모스크바 철수 계획 (1) 흩날리는 첫눈을 보며 갑자기 정신을 차린 나폴레옹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서두르자. 20일 안에 겨울 숙영지로 들어가야 한다." 그런데 겨울 숙영지라니, 그게 어디였을까요? 파리와의 연락망을 유지할 수 없는 모스크바가 겨울 숙영지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분명했습니다. 보로디노 전투 이전, 나폴레옹이 생각하던 겨울 숙영지는 크게 3곳이었습니다. 스몰렌스크, 빌나, 그리고 민스크였습니다. 그 중 스몰렌스크는 벨로루시(백러시아)와 러시아의 경계를 이루는 러시아 본토의 관문으로서, 아직 여기에는 겨울 숙영을 위한 물자 비축이 부족한 상태였습니다만, 모스크바에서 불과 12일 정도만 행군하면 도달할 수 있는 가까운 위치였습니다. 그에 비해 빌나와 민스크는 사실상 원정 출발점에 해당하는 지점으로서, 스몰렌스크부터 다시.. 2021. 4. 5.
모스크바에서의 생활 (1) - 커피와 훈제 생선과 과일 잼과 메밀죽 프랑스 남부 그레노블(Grenoble) 출신인 앙리 벨(Marie-Henri Beyle)이라는 청년은 1812년 당시 29세의 청년이었는데, 그는 2년 전부터 국가 감사관으로 임명되면서 공무원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나폴레옹 제국의 팽창이라는 시대에 맞게 그는 프랑스 국내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에서도 행정 업무를 수행했고 독일 지방의 여행도 많이 했습니다. 당시 이런 젊은이들이 새로운 기회를 찾아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에 참여하는 것은 흔한 일이었습니다. 앙리도 병참 보급관(commissaire)이라는 민간인 신분으로 이 거대한 원정대의 일원이 되었습니다. 앙리는 모스크바 대화재 당시 시외에 배치되어 있었고 따라서 성벽 밖에서 그 참혹한 장관을 지켜보았습니다. 홀라당 불타버린 모스크바 시내의 상황을 정리하고.. 2021. 3. 8.
농노를 위한 나라는 없다 - 1812년 프랑스군 후방에서의 게릴라전 몽골 침공 이래 가장 중대한 국난인 나폴레옹의 침공을 맞은 이후, 농노들을 자체 무장시켜 전쟁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러시아 지배층 사이에서 논쟁이 꽤 많았습니다. 성스러운 러시아 수호를 위해 당연히 농노들도 목숨을 걸고 싸울 것이며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단지 지도자 뿐이니 귀족인 장원주들이 앞장 서서 농노들을 이끌어야 한다는 낭만파도 있었습니다. 나폴레옹 침공이 시작되기 훨씬 전부터 러시아 귀족들은 모두 스페인에서 스페인 민중이 얼마나 열성적으로 부르봉 왕가를 지지하며 프랑스 침략자들에 맞서 격렬한 투쟁을 벌이고 있는지 잘 알고 있었습니다. 1809년 오스트리아 주동으로 제5차 대불동맹전쟁이 벌어졌던 원인도 스페인에서 프랑스가 고전하는 것을 보고 합스부르크 왕가가 자신감을 얻은 것이 컸지요. 러시아 .. 2021. 2. 15.
편지와 성경 - 짜르는 대체 뭘 하고 있었나 시간을 좀 거슬러 올라가보지요. 쿠투조프가 마치 모스크바를 사수하려는 것처럼 쇼를 하느라 모스크바 외곽에서 병사들에게 삽질을 시키고 있던 9월 11일, 저 멀리 알렉산드르의 궁전이 있는 상트 페체르부르그에서는 시내 모든 성당의 종과 포병대의 축포가 울렸고 온갖 건물들에 있는 대로 조명을 밝히는 등 축제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었습니다. 보로디노 전투가 끝난 날 새벽, 쿠투조프가 '보로디노에서 나폴레옹을 무찔렀다'라고 주장한 보고서가 알렉산드르에게 도달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상트 페체르부르그 전체가 난리가 나서 위대한 러시아의 승리를 자축했습니다. 크게 기뻐한 알렉산드르는 이 승리에 숟가락을 얹고자, 자신이 고안한 '나폴레옹을 꺾을 추가 작전안'을 담은 편지를 체르니셰프(Chernyshev) 대령에게 들려 쿠투.. 2021. 2. 1.
나폴레옹과 주석 단추 - 도시 전설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최근에 어떤 책 광고에서 재미있는 삽화를 본 김에 이번 주는 잠시 쉬어가는 잡담 코너로 꾸밉니다. 그 삽화는 아래와 같은 것입니다.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프랑스군 병사들의 외투 단추는 주석으로 되어 있었는데, 주석은 극심한 추위 속에서는 화학적 성격이 변하여 가루로 부서지기 때문에, 1812년 러시아의 추위 속에서 군복 단추가 다 떨어져 나간 병사들이 옷을 여미지 못해 얼어죽었다는 것입니다. 나폴레옹의 1812년 러시아 원정이 망한 이유가 주석 단추 때문이었다는 이야기는 꽤 오래 전에 나온 것입니다. 지금도 한글 검색만 해봐도 그런 이야기를 다룬 포스팅이 많습니다. 실제로 주석에는 특이한 성질이 있습니다. 금속이 결정체라고 하면 이상하게 생각하실 분들도 많겠습니다만, 철이건 구리건 금속은 상온에서 각각 .. 2021. 1. 18.
각자의 할 일 - 모스크바에서의 알렉산드르 잠시 시선을 나폴레옹으로부터 알렉산드르에게로 돌려보겠습니다. 모스크바를 향해 말을 달리던 알렉산드르의 마음은 당연히 좋지 못했습니다. 1709년 카알 12세(Karl XII)가 이끄는 스웨덴군이 폴타바(Poltava) 전투에서 박살이 난 이후, 러시아 영토 깊숙이 외국군이 쳐들어온 것은 이것이 처음이었습니다. 이런 위기 속에서 러시아 국민들을 다독이고 장병들을 통솔하여 침략군을 막아내는 것이 짜르가 할 일인데, 일단 알렉산드르는 장병들을 통솔하는데는 처참하게 실패한 뒤였습니다. 이제 남은 것은 국민들을 다독여 군에 보낼 보충병들과 보급품을 마련하는 것이었는데, 풀이 죽은 알렉산드르에게는 그것조차 만만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일단 러시아 귀족들과 시민 계급에게는 나폴레옹의 침공이 걱정했던 것보다는 긍정적인 .. 2020. 3. 9.
갈증과 이질 - 러시아군의 뒤를 쫓아서 (2) 여기서 잠깐 앙리 뒤코르(Henri Ducor)라는 프랑스 해군 수병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앙리는 원래 12살 때부터 사환으로 프랑스 해군 함정에 타기 시작한 선원이었고, 타고난 신체 조건과 근면함으로 20세가 되기도 전에 조타수 직위까지 승진한 유능한 뱃사람이었습니다. 뱃사람이었던 그는 러시아 원정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어야 할 인물이었습니다. 하지만 인생은 진짜 모르는 것입니다. 그의 첫 고난은 나폴레옹의 명령을 받은 빌뇌브 제독의 함대가 카리브 해의 영국 식민섬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함대가 바로 트라팔가 해전에서 넬슨이 이끄는 영국 함대에게 박살이 난 바로 그 함대였거든요. 빌뇌브는 영국 해군의 포로로 잡혔지만 프랑스 함대 전열함 중 5척은 무사히 탈출하여 카디즈(Cadiz) 항구로 돌아.. 2020. 2. 3.
굶주림과 징발 - 러시아군의 뒤를 쫓아서 (1) 결국 러시아군의 후퇴는 드리사(Drissa)까지는 다 계획이 있기 때문에 이루어진 의도적인 것이었지만, 그 이후로는 어쩔 수 없이 당장의 패배를 피하기 위해 줄행랑을 친 것이었습니다. 비텝스크에서 바클레이가 그랬던 것처럼, 러시아군도 싸우고 싶었습니다. 나폴레옹은 물론 싸우고 싶었습니다. 이렇게 서로가 싸우고 싶어했는데도 싸우지 못했던 이유는 러시아 제1군과 제2군이 합류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개전 초기 나폴레옹이 러시아 제1군과 제2군 사이에 쐐기처럼 프랑스군을 박아넣어 바클레이와 바그라티온을 분리시켜 놓은 것은 묘수처럼 보였지만, 결국 그 때문에 나폴레옹은 러시아 저 깊숙한 곳으로 기약없이 빨려들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그냥 추격을 멈추고 바클레이와 바그라티온이 .. 2020. 1. 27.
큰 기대 큰 실망 - 비텝스크 (Vitebsk) 전투 러시아 제1군의 뒤를 추격하던 뮈라는 최소한 러시아군이 어디로 움직이는지는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뮈라의 보고를 통해 러시아 제1군이 드리사의 방어진지에 자리를 잡고 앉았다는 소식을 접한 나폴레옹은 쾌재를 올렸습니다. 드디어 러시아군과 결전을 벌일 기회를 잡았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여태까지 빌나에서 여러가지 행정 업무에 발목이 잡혀 있던 그는 제롬의 바보짓 때문에 바그라티온을 놓친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직접 군을 지휘하기로 했고, 당장 말에 올라 드리사를 향해 달렸습니다. 나폴레옹의 기본 계획은 퓰과 알렉산드르의 실수를 100% 활용하는 것이었습니다. 즉 드리사의 러시아 제1군의 남동쪽으로 우회하여 바그라티온의 러시아 제2군과의 합류를 원천적으로 봉쇄함과 동시에 러시아군의 보급로를 막고 내친 김에 러.. 2020. 1. 20.
잘못된 시작 - 빌나(Vilna)에서의 프랑스군 네만 강을 건너 리투아니아의 수도 빌나(Vilna, Wilna, Vilnius)에 입성하기까지 총 한 방 쏘지 않았던 프랑스군은 겉으로 보기에는 승승장구 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프랑스군이 빌나에 입성할 때, 빌나 주민들의 반응을 봐도 그랬습니다. 당시 빌나는 러시아의 직접 통치 하에 들어간지 약 20년이 채 안 된 상태였었는데, 러시아계 관료들이나 러시아 측에 붙었던 폴란드계 귀족들은 러시아군이 철수할 때 그 뒤를 따라 함께 피난을 가버린 뒤였습니다. 그러다보니 남아있던 폴란드-리투아니아계 주민들은 프랑스군을 해방군으로서 열렬히 환영했습니다. 당시 폴란드 창기병 부대를 이끌고 빌나에 거의 처음으로 입성했던 로만 솔틱(Roman Soltyk) 백작의 목격담에 따르면 거리와 광장은 환영 인파로 가득했고 창.. 2019.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