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교5

아스페른-에슬링 8편 - 우연 또는 필연 5월 22일 오전 8시에 부교가 끊어졌다는 보고를 받은 나폴레옹의 안색은 상당히 침착했다고 합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대영웅다운 침착함이다 아니다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인식을 못한 것이다 등등 말이 많습니다만, Harold Parker의 'Three Napoleonic Battles'라는 책의 주석에 나온 설명에 따르면, 사실 이날 부교는 한번이 아니라 두번 끊어졌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7시에 작은 규모로 끊어졌고 이는 곧 수리될 수 있었으나, 곧 이어 9시에는 도저히 그날 중으로는 수리가 안 될 지경으로 크게 부서졌다는 것입니다. 아마도 오전 8시 경 나폴레옹이 받은 보고는 그 첫번째의 대수롭지 않은 파손 소식이었을 것입니다. 여러 책과 인터넷 사이트마다 몇 시 경에 다리가 끊어졌는지에 대한 설명이 제.. 2017. 3. 26.
아스페른-에슬링 7편 - 고민과 선택 새벽이라고 부르기에도 너무 이른 시각이었던 5월 22일 새벽 3시 경, 이미 나폴레옹은 말 안장에 올라타 있었습니다. 그는 밤 사이에 란의 제2 군단 병사들이 도나우 강을 건너 좌안으로 이동하는 것을 직접 감독하느라 거의 쉬지 못했으나, 별로 피곤한 줄도 몰랐습니다. 이제 몇 시간 뒤면 오스트리아군 주력을 격파할 생각에 부풀어 있었으니까요. 그의 기본 계획은 그 전날 전투에서 목격한 오스트리아군의 어설픈 배치의 틈을 파고드는 것이었습니다. 오스트리아군은 아스페른에 병력을 집중하고 있었고, 에슬링에 대한 공격은 다소 느슨했는데, 그 두 마을 사이의 중앙 평원에 대해서는 병력이 그다지 많지 않았습니다. 나폴레옹은 그 중앙을 돌파할 생각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항상 프랑스군의 선봉을 맡았던 란이 다시 한번 그.. 2017. 3. 19.
아스페른-에슬링 3편 - 순조로운(?) 도하 포병 전문가인 베르트랑 장군의 계산에 따르면 대포가 건널만 한 부교를 짓기 위해서는 20피트, 즉 약 18미터마다 한 척의 보트가 필요했습니다. 그러자면 최소 80척의 보트가 필요했는데, 비엔나 일대를 나흘 동안 미친 듯 뒤지니 90척의 보트를 모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중 부교 건설에 사용될 만한 상태인 것은 70척 뿐이었고 그나마 부교를 위해 보트를 고정시키는데 꼭 필요했던 닻은 정말 구할 수가 없었습니다. 나폴레옹은 속이 탔습니다. 그는 작업 현장에 계속 참모를 파견하여 널빤지가 어쩌고 로프가 어쩌고 하는 지극히 잡다한 보고를 일일이 직접 챙기며 부교 건설을 위한 자재 확보에 심혈을 기울였고, 마침내 충분한 수의 보트를 확보하여 5월 19일부터는 부교 건설 작업에 들어갈 수 있다는 보고를 받았.. 2017. 2. 19.
아스페른-에슬링 2편 - 우울한 원수 가스코뉴의 열혈남아 장 란(Jean Lannes)에게 있어 나폴레옹을 따라 전투에 나간다는 것은 새로운 공로와 그에 따르는 영광을 얻을 좋은 기회였고, 그는 한번도 그런 기회 앞에서 머뭇거린 적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1809년 4월 19일 밤, 노이슈타트(Neustadt)의 나폴레옹 앞에 나타난 란은 몹시 의기소침하고 심란한 모습이었습니다. (가스코뉴 출신의 유명한 남자라고 하면 달타냥이 1순위이고, 란이 2순위입니다. 몰랐는데, 달타냥이 알렉상드르 뒤마의 삼총사라는 역사 소설에 등장하기는 하지만, 실제로도 총사대 소속의 풍운아로 유명했던 역사적 인물이라고 하네요.) 나폴레옹도 란을 보자마자 평소 보아오던 란이 아니라는 것을 금방 알아챘습니다. 그는 란이 긴 포위전에도 끈질기게 버티던 스페인 사라고사(Z.. 2017. 2. 12.
아스페른-에슬링(Aspern-Essling) 1편 - 도나우 강의 푸른 물결 (ㄹ혜와 가족 여행 때문에 오랫동안 중단되었던 제5차 대불동맹전쟁 다시 시작됩니다. 짧더라도 매주 연재하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지난 편에서는 1809년 5월 13일 나폴레옹이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Wien)을 다시 정복하는 모습과, 5월 17일 카알 대공이 린츠(Linz)에서 반격을 꾀했으나 처참하게 실패하는 모습을 보셨습니다. 이제 이야기는 운명의 아스페른-에슬링(Aspern-Essling) 전장을 향해 달려갑니다. 1809년 5월, 모든 상황은 나폴레옹의 최종 승리를 낙관하게 했습니다. 적국의 수도도 점령했고, 군의 보급과 사기도 매우 양호했으며, 병력도 프랑스군이 더 우세했습니다. 1805년 아우스테를리츠 전투를 앞둔 상황도 지금처럼 유리하지는 않았습니다. 당시엔 물러난 오스트리아군이 러시아군과 .. 2017. 2. 5.